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생리적 기능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이며, 대표적으로 비피더스균과 젖산균이 알려져있다.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여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

국내 건강기능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
구분 | 종류 |
Lactobacillus | L. acidophilus, L. casei, L. gasseri,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L. helveticus, L. fermentum, L. paracasei, L. plantarum, L. reuteri, L. rhamnosus, L. salivarius |
Lactococcus | Lc. lactis |
Enterococcus | E. faecium, E. faecalis |
Streptococcus | S. thermophilus |
Bifildobacterium | B. bifidum, B. breve, B. longum, B. animalis ssp. lactis |
장에 도달하여 생육할 수 있게 된 프로바이오틱스는 젖산을 생성하여 장내 환경을 산성으로 만든다.
산성 환경에서 견디지 못하는 유해균들의 수는 감소하게 되고 산성의 환경에서 생육이 잘 되는 유익균은
더욱 증식하게 되어 장내 환경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게 된다.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장내 균총의 분포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이다.
하루 권장 섭취량
장까지 프로바이오틱스가 도달하여 유익한 유산균 증식, 유해균 억제, 배변활동 원활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공전에서 정하는 섭취량은 1억~100억 마리이다.
과잉증
과량 섭취 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 복용 시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이 저해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